git init (README)
Hello I’m Donghui Son, a PhD student at KyungHee University studying how the Sun works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I work with Prof. Tetsuya Magara at the Solar Dynamics Laboratory. My researc...
Hello I’m Donghui Son, a PhD student at KyungHee University studying how the Sun works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I work with Prof. Tetsuya Magara at the Solar Dynamics Laboratory. My researc...
MCP로 Claude 업그레이드하기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Claude에게 웹 크롤링, 메모리, 문서 검색 같은 능력을 추가하는 플러그인 시스템입니다. 이 주요 MCP들을 로컬에 설치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준비물 Node.js v20+ Git Claude Desktop 앱 Bun (Context7용, ...
TBD
태양 MHD 시뮬레이션: 적도 가속, 극향 자오선 흐름 및 표층 전단층의 동시 구현 (Hotta, 2025) 참고 문헌 Hotta, H., 2025, Simultaneous Construction of Fast Equator, Poleward Meridional Flow, and Nearsurface Shear Layer in Solar M...
복사 자기유체역학(RMHD) 방정식의 수치적 해법: FLD 근사와 M1 폐쇄 사용 서론 복사 자기유체역학(Radiation Magnetohydrodynamics, RMHD)은 전도성 유체, 자기장, 그리고 복사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물리학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다중물리학적 접근법은 항성 대기, 강착원반(accretion disk), 별...
태양 자기장의 어떤 성분이 태양 주기에 걸쳐 행성간 자기장의 진화를 주도하는가? (Yoshida et al., 2023) 서론 태양 자기장의 전반적인 구조는 태양 활동 주기에 따라 변화합니다. 태양 극소기에는 주로 극지방에서 행성간 공간으로 열린 자기 선속(open flux)이 뻗어 나가며 쌍극자(dipole) 구조를 가집니다. 반면, 태양 극대...
목차 들어가며 L1 기반 시스템의 한계 L5 관측이 가져올 혁신 L5 관측의 한계와 과제 해결 방안: 관측-모델링 융합 시스템 맺음말 들어가며 현재 우주기상 예측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L1 라그랑주 점($1.5\times10^6\text{km}$ 거리)에 위치한 DSCOVR, ACE 등의 위성에 크게 의...
Solar Orbiter 미션을 위한 모델과 데이터 분석 도구 종합 분석 1. 논문 개요 이 논문은 유럽우주국(ESA)과 NASA의 협력 미션인 Solar Orbiter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모델링 기법과 데이터 분석 도구들을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2. Solar Orbiter 미션 소개 Solar Orbiter는 태양과 내부...
태양 광구의 데이터 기반 복사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 물리 정보 신경망(PINN)을 활용한 개념 증명 논문 분석 Christoph U. Keller의 논문 “물리 정보 신경망을 이용한 태양 광구의 데이터 기반 복사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 개념 증명”은 태양 대기의 복잡한 물리 현상을 이해하고 관측 데이터와 일치하는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
Presentation.pdf Presented by: Donghui Son Solar Physics Journal Club @ KHU Introduction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how varying initial twist in deeply rooted magnetic flux...